2010년 4월 19일 월요일

Office 2010 PKC에 대해서

PKC를 설명드리기 전에...

Office 2007 Small & Business Edtion MLK 이라는 제품이 있습니다. 보통 Office 2007 SBE라고 하지요...
라이선스가 아니면 COEM(DSP)형태로만 판매되는 제품입니다.
MLK(Medialess License Kit)는 말 그대로 설치할 수 있는 미디어가 없는 제품입니다.
제품을 구매하면 Produnt Key가 적힌 카드만 들어있고 대신 설치CD가 별도로 제공되지요.


Office 2010 제품은 역시 COEM(DSP), FPP(패키지), 라이선스 형태로 제공됩니다.
달라진 점은 COEM(DSP) 제품은 PKC(Product Key Card)형태로만 제공됩니다.
전에 MLK였는데 PKC로 이름만 바뀐것이 아닙니다.
PKC제품에는 별도의 설치CD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앞으로(2010년7월 이후) OEM(COEM) 방식으로 생산되는 PC에 들어가는 OS에는
Office 2010 스타터라는 프로그램이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무료로 제공되는 스타터는 Office의 가장 기본적인 읽기 간단한 편집 기능만 제한적으로 제공됩니다.
이 스타터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PKC제품을 구매하여 포함되어 있는 Product Key를 입력하여
인증을 하면 구매하신 에디션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스타터가 없는 OS에는 PKC 제품을 설치할 수 없습니다.

한가지 더 말씀드리면, 패키지(FPP,처음사용자용)형태의 OS에는 스타터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하는 PC에 COEM(DSP)형태의 OS가 아니고 패키지 형태의 OS를 따로 구매하여 설치하셨다면
Office 2010 패키지 제품을 구매하셔야 합니다.

구체적인 PKC지원 방안은 6월 이후가 되어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때 다시 말씀드릴께요.

* Windows 7 Starter Edtion이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스타터는 Office 2010 Starter를 말씀드리는 것이니 혼동하지 마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